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전시 과거전시

과거전시 Past exhibition

포마

백남준 특별展

  • 전시기간 2010-09-09 ~ 2010-11-21
  • 전시장소 1, 2전시실 및 로비
  • 전시작품 싱글채널비디오, 비디오 조각 및 설치, 사진, 드로잉, 다큐멘터리 비디오 등
  • 참여작가 백남준



■ 전시개요

전시제목 :  2010 포항시립미술관 백남준 특별전

텔레토피아 Teletopia - 드로잉에서 레이저까지

전시일시 :  2010년 9월 9 11 21 (74일간)

개막일시 :  2010년 9월 9 오후 4

전시작품 : 156
           
싱글채널비디오 9, 비디오 조각 및 설치 16, 사진 42
          
드로잉 78, 다큐멘터리비디오 7, 레이저 영상 1, 그 외 3 

관람시간 : 10:00am6:00pm
             
(월요일 휴관, 관람종료 1시간 전까지 입장 가능)

전시장소 : 포항시립미술관

관 람   : 무료
도슨트 투어 : 평일(~) - 11:00, 15:00
(
전시설명회)   주말(~) - 11:00, 14:00, 16:00
주최/주관 : 포항시립미술관

: 포스코, 포항상공회의소, 대구은행, 농협

협 력 : 필로스호텔

기 획 : f a z i

초청기획자 : 문인희 아이리스(Inhee Iris Moon)


<텔레토피아 드로잉에서 레이저까지>전시는 드로잉에서부터 꼴라주, 퍼포먼스 기록, 비디오 조각, 비디오 설치, 레이저 등 다채로운 작업을 통하여 백남준의 대내적인 관심사와 추구하는 바, 그리고 철학관을 깊고 섬세한 차원에서 보여준다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전시 제목이자 주제인 텔레토피아(Teletopia)’는 작가의 트레이드 마크라고 할 수 있는 텔레비전(Television)텔레(tele, 그리스어로 '멀리'라는 뜻)’본다이라는 의미가 함께 담겨있는 비전(Vision), 그리고 이상적인 사회를 일컫는 유토피아(Utopia)토피아(topia)’를 합성한 말로, 예술과 기술, 자연과 인공이 서로 소통되고 조화되는 이상적 사회를 작업에서 보여준 백남준의 예술철학과 비전을 반영한다. “예술가의 역할은 미래를 사유하는 것이다라는 백남준 자신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작가는 끊임없이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하였고, 그를 통해 얻은 자신의 견해를 작업을 통해 표출했다. 현재까지도 유효한 이슈들로서 자연과 테크놀로지의 결합 및 조화, 인간과 기계의 결합, 미디어를 통한 소통 등이 바로 백남준이 꿈꿔왔던 텔레토피아인 것이다.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이자 미디어 아트의 아버지인 백남준(1932-2006)은 요셉보이스나 앤디 워홀, 마르셀 뒤샹과 함께 20세기 현대미술의 대표로 알려진 거장이다. 그는 모더니즘 미술에서 포스트모던 미술로 가는 교차점이었던 1960년 초부터 황화(yellow-peril, 황인종이 백인에게 주는 위협)를 두려워했던 시기의 백인들 사이에서 서양의 전유물로 인식되었던 테크놀리지와 미디어를 동양사상, 혹은 더 깊은 의미로 파악하면 한국인으로서 가지고 있었던 원초적 문화와 풍류적 기질을 접목시킨 새로운 미학적 개념과 도발적인 전술을 가지고 그 당시 발생된 다양한 무브먼트의 기동력이자 핵심이 되었다. 백남준은 50여 년의 세월에 걸쳐 매체로서의 TV와 비디오, 미디어와 테크놀리지를 조각, 페인팅, 드로잉, 퍼포먼스, 설치 등 미술의 다양한 카테고리에 접목시켜 예술의 영역을 대폭 확장시키고, 전자 정보 시대와 전자 시각 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관객들에게 변화된 예술의 언어와 컨텐츠 그리고 기술을 제공하였다. 그의 비전은 인간과 테크놀리지의 화합, 즉 인공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아름다움을 창출해 내는데 있었고, 과학과 기술이 인류의 진화에 기인하여 창출된 것인 만큼, 자연과 인간이 친화 관계에 있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남들보다 앞서서 국제화 시대를 살아낸 백남준은 음악, 언어, 소리, , 테크놀리지, 미디어, 정치, 사회 그리고 시각적 뿌리라 일컫는 개념들을 다양한 작업으로 표현하였다.

플럭서스, 해프닝, 개념미술, 퍼포먼스 미술과 비디오 아트에 이르기까지 그의 아이디어나 예술 행위에 대한 사고방식, 의향, 철학이 반영되지 않은 분야가 없을 정도로 백남준은 유럽과 미국의 예술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청량제이자 침입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철학과 더불어 음악사와 작곡을 전공했던 그는, 1959년 존 케이지(John Cage)와의 만남을 전환점으로 음악과 미술, 두 영역을 결합시킨 퍼포먼스로 작가의 길에 오르며 20세기 음악의 진부함을 고발하는 동시에 변화를 주장, 1965년 샬롯 무어맨(Charlotte Moorman)과 함께 <성인만을 위한 소나타 No.1>, <24시간 해프닝>의 해프닝 시리즈로 뉴욕 예술계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던 중 1967년 퍼포먼스 <오페라 섹스트로니크> 부적절한 노출이란 이유로 인해 무어맨과 함께 체포되었다. 그 후 재판에서 이기면서억압되어있던 예술 표현의 자유를 풀어주었다는 평을 듣고 퍼포먼스의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스타덤에 올랐다. 1973년 뉴욕주 시라큐스 에버슨 미술관에서 첫 회고전을 연 이후, 1982년 미국 휘트니 미술관 개인전과 더불어 첫 위성 프로젝트인 <굿모닝 미스터 오웰>을 통해 일시에 2 5백만 세계인의 주목을 이끌어 내는데 성공하고, 1986년과 1988년에 두 번째와 세 번째 위성방송 프로젝트를 실현함으로써 본인이 주장하던테크놀리지를 통한 소통예술의 중요성을 증명하였다. 1985년에 베니스비엔날레에 첫 번째로 참여하였고, 1993년에 같은 비엔날레에서 영예로운 황금사자상을 획득했으며 1990년에 이르러는 1003대의 모니터를 사용한 <다다익선>이나 47채널 비디오를 313대의 모니터에 실어 보여주는 <일렉트로닉 수퍼 하이웨이>, 166대의 모니터를 사용한 <거북(Turtle)>과 같은 대형설치 작업을 하였고, 2000년 구겐하임 회고전에서 와 같은 레이저 작업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명실공히 국제적으로 가장 혁신적이고 첨단적인 작가로서의 명성을 굳혔다.


‘드로잉에서 레이저까지’라는 전시의 부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총 150여 점의 다양하고 수준 높은 작품들로 구성된 이번 전시에서는 <거북>, , <타워(Tower)>와 같은 대형 작품을 포함한 16점의 비디오 조각, 78점의 꼴라주 및 드로잉 작품, 임영균 작가가 촬영한 백남준의 퍼포먼스 사진 42점과 싱글 채널 비디오 작품 9, 1993년 베니스비엔날레와 2000년 뉴욕 구겐하임 전시 등을 포함한 다큐 영상 7, 빌바오 전시의 레이저 영상 등을 선보인다.

                                                                                             
■ 초청기획자 문인희 아이리스
(Inhee Iris Moon)

The purpose of this exhibition is to show Nam June Paik’s continued interest, his philosophy and pursuit on a deep and delicate level through various works of his drawings, collage, performance records, video sculptures, video installations, and laser installation transformed in a form of video projection.  The title as well as the theme of the exhibition, ‘Telotopia’ is synthesized by combining ‘Tele’(in Greek, meaning far) from the word, television, which is considered Paik’s trademark and ‘Topia’ from the word, utopia which means ideal society. Teletopia reflects Paik’s artistic philosophy and vision which is evident when he portrayed in his works the ideal society based on communication and harmony between art and technology, and nature and humanity.  As can be inferred from his saying, “the role of artist is to contemplate the future,” Nam June Paik thought and contemplated endlessly about the future and expressed through his works the opinions that he obtained. The important issues he dealt with such as the combination and harmony of nature and technology,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s, and media communications, are still valid today.  This precisely is the world of Teletopia that Nam June Paik dreamed of.

As the sub-title, ‘from drawing to laser’, suggests, the exhibition showcases great many 156  excellent artworks. They consist of 16 large-scale video installation works such as and , 78 painting/drawing works, 42 pictures of Paik’s performance art photographed by Young Gyun Lim, 9 single channel videos, 7 documentary videos from 1993 Venice Biennale and 2000 New York Guggenheim exhibition, and a video documentation of a laser work from Bilbao exhibition.

This exhibition revives the Teletopia that Nam June Paik so passionately pursued and the viewers can experience the artist’s rich body of works displayed in 7 different spaces, subtitled, ‘Continuum’, ‘Phantasma’, ‘Teletopia’, ‘Originale’, ‘Performance Path’, ‘Kaleidoscopic view point’, and ‘Electronic Sublime’.  The viewers enter the exhibition hall and climb the stairs to the second floor and it’s there they begin viewing the exhibition.  Between the elevator and the exhibition room 2 on the second floor, 2 works, a video sculpture, and a video image, <9/23/69: Experiment with David Atwood>, can be seen. This space welcomes the viewers as it the two beautifully suspended video chandeliers greet the viewers, leading to the main space called the ‘Teletopia’. This first space also displays a 72 minute long single channel video work called “experiment with David Atwood” which is considered a master abstract piece of Nam June Paik.  Together the chandeliers and the large projection of abstract movement on the grand scale wall create a space that can be liken to a intangible but nevertheless existing body/space of  ‘Phantasma.’ It allows the viewers to imagine wide and far the art world where abstracts and concreteness, and reality and imagination co-exist.  The second floor’s exhibition room 2 can be considered as the space of experimental materialization of the exhibition’s title, ‘Teletopia’. This exhibition room produces a phantasmagorical atmosphere with movements of lights and colors.  In the middle of the room are which looks like a house from a fairytale and will remind the viewers of childhood dreams no matter who they are and which looks like a flower tree planted in a garden.  is a video installation that consists of 33 TV monitors, ordinary looking dressers that might be from 70 or 80’s American households, TV cases and the changing images inside them, its roof made out of backsides of laser disks, and a crow that’s sitting on it. It is an expression of what might be called ‘neo-environmental house’ which combines the old with the new and mechanical things with natural things. Next to that, there is a video piece made of laser which moves like a waterfall or vortex, Paik’s last medium which quickly became his passion. There is also which reminds the viewers of constellations on a night sky or highway and next to that, , robot Joseph Beuys.  After passing through the , the viewers will come upon a large-scale video, , which is considered to be Nam June Paik’s definitive piece in single channel video category.  Past the , entering into an opening where light is soft, the space is illuminated by and it symbolizes the hazy and warm world of unconsciousness. This room, with at the center, showcases Nam June Paik’s collage piece for the first time ever.  Consisted of 73 artworks, the piece is from the private collection of Ms. Kyung Hee Lee, an essayist and a childhood friend of Paik.  The majority of the artworks on the printing paper are pictures, phrases, and words and each is like a sign that hides a code or a riddle. These are the first pieces that Paik worked on after he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fter suffering a stroke in 1996. Accordingly, deeper meanings are attached to these pieces and they are thought to have served the important role of rehabilitating the body and mind of the artist.  In the documentary room, the 7 documentary videos of Paik’s monumental exhibitions such as 1993 Venice Biennale where Paik was honored with the Golden Lion Award and 2000 New York Guggenheim Solo Exhibition provide the domestic viewers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confirm Paik’s international reputation and excellence. 

In the corridor that leads to the balcony on the second floor, the viewers will come across the records of Nam June Paik’s achievements in the form of performance pictures of him taken by photographer, Young Gyun Lim and the essays written by the exhibition curator. On the balcony, the viewers can enjoy 4 s  made in 1990’s and 5 pure and innocent drawings and at the same time can glance down at the large-scale installation works on the first floor which might resemble a scene from a cartoon.  Leaving behind the drawings and walking down the stairs which leads to the first floor, the viewers will see Paik’s self-portrait and his famous saying, “There is no rewind button in life”.  Arriving on the first floor, the viewers will experience the grandeur scale of Nam June Paik’s video installations when observing , the highlight and climax of this exhibition which consists of 166 monitors and with sub-title ‘Death of Mozart’, and feel the sublimity of the whole electronic art that combines music, art, dance, technology, and electronics. Finally, the viewers return to the space that i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is exhibition. Arranged here are , the most recent work in the exhibition and the experimental single channel videos from the early years between 1965 and 1972, which are projected on to a large screen.  Even after his death, Nam June Paik continues to be remembered and revered and this space is dedicated in praise of timelessness of his works.

The Nam June Paik Special Exhibition looks back and reaffirms the power of influence that Paik’s imagination and vision have had on culture and art and furthermore on modern society as a whole.  It is intended that the viewers experience Nam June Paik’s dream and vision to create his own utopia, ‘Teletopia’, through the harmony of nature, human, and technology, that is to say, the reciprocal effect between humanity and nature.
                                                                                                                      Guest Curator Inhee Iris Moon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